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월대보름행사,놀이(지자체,문화,협회,기업 LED풍선)

LED풍선,풍등 조명 제조,제작설치

by 라비코리아주식회사 2016. 1. 18. 16:44

본문

 1.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써 일 년 중 처음 맞는 보름날이다.

 

정월대보름행사와 놀이(지자체,문화,협회,기업,이벤트 LED풍선)


이 날은 일 년 중 첫 보름이라 중요시하며 그 해 농사의 풍년, 흉년과 그 해의 좋고 나쁨을 점쳤다.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오곡밥, 약식을 먹는다. 또한 쥐불놀이, 달맞이 등 여러 가지 민속 놀이를 한다.

2. 지신 밟기

- 동네 사람들이 농악대를 조직하여 집집마다 다니며 땅을 다스리는 신에게 인사를 드리고 못된 귀신을 물리쳐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생기고 풍년을 기원하였다. 집 주인은 음식을 마련하여 농악대에게 대접하였다.

3. 달집 태우기

- 달이 떠오를 때 동네 사람들이 넓은 빈터에 모여 볏짚을 쌓아서 만든 달집을 태웠다. 그리고 농악에 맞추어 함께 춤을 추고 타오르는 달집 주변을 돌면서 한 해 동안 마을에 좋은 일만 일어나기를 기원하였다.

4. 복조리 걸어두기

- 대보름날 아침에 복조리를 사서 걸어둔다. 이것은 복조리를 걸어두면 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정월대보름행사와 놀이(지자체,문화,협회,기업LED풍선 라비코리아주식회사)

놋다리 밟기:놋다리 밟기란 부녀자들이 행하던 놀이로 기와밟기, 동교, 인다리 등으로 불려진다.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한 줄로 길게 늘어서서 허리를 굽히고 앞사람의 허리를 두손으로 껴안아 긴 사람다리(인다리)를 만든다. 다리를 만든 다음, 맨 뒷 사람부터 한 명씩 순서대로 건너게하고 다 건넌 뒤는 내려서 그 자리에 허리를 굽히고 다시 놋다리를 구성한다. 놋다리 밟기에 참가하는 여인들은 신분, 연령에 구애없이 누구나 참가하여 즐길 수 있었다.

연날리기 : 각가지 모양의 연을 하늘 높이 띄우는 놀이로 정월 초하루 부터 대보름 사이에 주로 즐겼으며 그 해의 재난을 멀리 보낸다는 뜻에서 연줄을 일부러 끊어 띄우기도 하였다.

그외- 더위팔기, 수해쌈, 사자놀음, 쥐불놀이


1. 줄다리기

짚 또는 칡으로 큰 줄을 수십 발이나 되게 길게 꼬고 줄 양 머리에는 수많은 작은 줄을 매달아 몇몇 마을을 둘로 편을 갈라 줄을 서로 잡아 당겨 승부를 가린다.

줄다리기에서 이기는 편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이 있다. 여러 마을 사람들은 준비한 음식을 먹고, 함께 어울려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2. 달맞이



달이 동쪽에서 솟아오를 때면 사람들은 달맞이를 위하여 뒷동산에 올라간다. 동쪽 하늘이 붉어지고 대보름 달이 솟을 때 농부는 풍년 들기를 기원하고, 처녀, 총각은 시집 장가 가기를 빌었다.

그러면 소원이 성취된다고 믿었다. 달빛이 희면 비가 많고, 붉으면 가뭄이 있으며, 진하면 풍년이 들고, 달빛이 흐리면 흉년이 들 것이라는 1년 동안의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하였다.


3. 횃불싸움


마을의 청년들이 가족 수대로 싸리나 짚으로 횃불 막대를 만들어 농악을 울리며 산 위로 올라가 서로 마주보고 선다. 달이 떠오를 때 다려 나가 싸우다는 경기이다. 진 편은 그 해 흉년이 들고 이긴 편은 풍년이 든다고 생각했다.
4. 쥐불놀이


밤에 들에 나가서 논둑, 밭둑을 태우는데 이것을 쥐불놀이라 한다. 쥐불놀이는 못된 귀신을 쫓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한다는 것과 잡초를 태움으로써 해충의 알을 죽여 풍작을 기도하며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되도록 한다. 또 쥐불놀이를 하면 1년 동안 병이 없고 좋지 않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5. 잰부닥불 피우기



- 아이들이 모닥불을 피워놓고 1년 동안 건강을 빌며 불 위를 자기 나이만큼 뛰어 넘는 놀이다.

6. 더위 팔기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 사람들을 만나는 대로 서로 상대방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하고 말하여 더위를 판다. 이렇게 하면 그 해 일 년 동안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 날은 다른 사람이 불러도 대답하지 않고 얼른 <내 더-위>라고 말한다.


1. 부 럼

부럼은 먹는 음식 이름이 아니고 잣, 호두, 밤, 은행 등을 깨무는 것을 부럼이라고 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물기도 하지만 노인들은 이가 단단하지 못하므로 몇 개만 깨문다. 여러 번 깨물지 말고 단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한다.
부럼을 깨물면 일 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었다.

2. 오곡밥

쌀, 보리, 조, 콩, 기장의 다섯가지 곡식을 넣고 지은 밥을 말합니다.
오곡밥을 먹게 된 유래는 약식에 들어가는 잣, 대추, 밤 등의 당시의 평민들은 구하기 어려운 재료였거든요. 그래서 엄두가 나지 않아서 대신 오곡밥을 지어먹게 된 거랍니다. 세 집 이상의 것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해서 집집마다 서로 나누어 먹었답니다.
3. 귀밝이술

보름날 아침에 마시는 술로서 데우지 않은 술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또 그 해 1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 늙은 사람 젊은 사람 모두가 마셨다.
4. 약식

약밥 또는 약반이라고도 해요.
이걸 먹게된 이유는 신라시대에 소지왕이 정월대보름날 경주 남산 기슭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행차를 하는중에, 갑자기 까마귀가 날아와서 봉투 한 장을 떨어뜨리고 날아갔답니다. 신하들이 주워서 봤더니 겉면에 "이걸 뜯어보면 2명이 죽고, 안보면 1명이 죽는다"고 써 있었대요. 이 글을 보고 한참 고민을 했겠지요? 그러다 한 신하가 '1명은 왕을 일컫는 것'이라고 주장을 해서 열어보았더니, "당장 궁중으로 돌아가서 내전 별방에 있는 금갑을 쏘시오"라고 쓰여 있었대요. 그래서 바로 궁으로 돌아가서 금갑에 대고 활을 쏘았더니 왕비와 한 신하가 나오는거에요. 심문을 했더니 둘이서 역모를 꾀하는 중이었더랍니다. 그래서 왕은 둘을 처형하고, 목숨을 살려준 까마귀에게 고맙다는 뜻으로 매년 1월 15일을 까마귀 제사날(오기일:)로 정하고 귀한 재료를 넣은 검은 밥, 즉 약밥을 지어서 제물로 바쳤답니다.

쥐불놀이

 

14일과 대보름밤에 들의 논둑과 밭둑을 불태우는 놀이. 잡초를 태워 쥐를 없애고 해충의 알을 죽여 풍작을 기원하며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되도록 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2.볏가릿대 세우기

 

보름날 새벽 일찍이 집안 아이들로 하여금 전날 만들어 두었던 볏가릿대주위를 돌면서 풍년을 기원하는 노래를 해가 뜰 때까지 부르게 한다.

 

3.줄다리기

 

달맞이가 끝나면 윗마을, 아랫마을로 편을 나눠 줄다리기를 하는데 이긴 마을에 풍년이 든다 하였으며 남자와 여자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기도 하는데 여인네들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 하여 남정네들은 슬그머니 져주기도 하였다

 

4.고싸움

 

굵은 줄에 단 고를 어깨에 매고 서로 부딪쳐 이편 고로 상대편 고를 눌러 땅에 닿게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5.차전놀이

 

동채싸움이라고도 하며 안동에서 마을 주민들이 동서로 나뉘어 동채 위에서 지휘하는 대장의 지휘에 따라 전진, 후퇴, 좌우를 반복하다가 상대방의 동채를 눌러 땅에 닿게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6.돌싸움

 

석전이라고도 하며, 마을대 마을 또는 한 지방을 동서남북으로 나누어 하천을 사이에 두거나 백여 보 거리를 두고 서로 돌을 던져 싸우는 것.

 

7.나무쇠싸움

 

동, 서로 나누어 나무로 만든 소를 어깨에 메고 상대편을 향해 돌진하여 상대편의 소가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밀어내지게 되는 편이 이긴다. 이 때 서쪽이 여성을 상징하여 서쪽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8.윷놀이

 

황해도 지방에서 산패와 들패로 나누어 윷놀이를 하는데 산패가 이기면 밭농사가, 들패가 이기면 논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9.횃불싸움

 

보름날 저녁 청소년들이 편을 갈라 횃불을 들고 노는 싸움.

 

10.다리밟기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는 민속놀이. 답교()라고도 한다. 이 날 다리를 밟으면 1년 동안 다리병을 앓지 않고, 12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12달의 액()을 면한다고 한다. 조선 선조() 때 이수광의 저서 《지봉유설()》을 보면, 정월 대보름날 다리를 밟는 풍속은 고려 때 시작된 것으로 남녀가 쌍쌍이 짝을 지어 밤새도록 다녔으므로 거리가 혼잡하여, 이 날 여자가 다리밟는 것을 금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이리하여 여자들은 16일밤에 다리밟기를 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고려 때 다리밟기가 크게 성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일부 양반들은 번잡을 싫어하여 14일 밤에 했는데, 이것을 <양반다리밟기>라고 했다. 그러나 조선 중엽 이후 차츰 부녀자들이 다리밟기를 하면서 여러 병폐가 생김에 따라 부녀자들의 다리밟기는 점점 줄기 시작했다.

LED풍선날리기는 새롭게 만든 이벤트로 소원,소망을 기리며 정월대보름에 맞게 기획된 제품입니다.

1. 화재 위험이 없고

2. 폭발 위험이 없으며

3. 환경 문제에 대처했고(무연납,리튬 건전지 사용)

4. LED4개가 장착된 강한 빛을 발산하며

5. 전기선이 필요 없습니다.

6. 다양한 색을 뚜렷하게 표현하며

7. 국내 기술로 만든 창작 제품입니다.

8. 풍부한 설치 경험으로 확실하게 일을 진행하는 믿을수있는 기업입니다

라비코리아주식회사(032)811-2779

 

사업자 정보 표시
라비코리아(주) | 손완주 | 인천시 부평구 마분로15(부개동) | 사업자 등록번호 : 122-86-15597 | TEL : 032-811-2779 | Mail : lavita08@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8-인천부평-0580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